1. 개요
- 일시: 2005년 12월 22일
- 장소: 인권운동사랑방 4층 회의실
- 참석: 김난영, 문재승, 범용, 정민수
2. 모임진행
- 먼저 김난영 씨가 북의 식량권 자료 수집 현황을 보고함.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lan), 푸드퍼스트(Food First), 유엔아동기금(UNICEF) 등에서 북 식량상황을 담은 자료 현황을 설명했고,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북 식량상황 관련 자료는 조사 중이라고 말함. 다음 모임까지 식량권에 대한 개괄 및 자료목록, 그리고 출처 등을 명시해서 「북인권 자료찾기 보고서 4 - 식량권과 북인권 자료」(초안)을 작성해 오기로 함
- 이어 범용의 보고가 있었음. 범용은 국제인권단체 중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휴먼라이츠워치, 프리덤하우스의 북인권 자료 현황을 설명함. 이어 미국 평화원(U.S. Institute of Peace)라는 곳을 미 정부기관으로 포함시킬지, 아니면 국제인권단체 쪽으로 포함시킬지 고민이라고 보고함. 미국 평화원장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의회의 승인을 얻게 되어 있으나, 정부기관은 아님. 한편, 유엔아동기금, 세계보건기구, 유니세프 등 유엔전문기구들로부터도 북인권 자료가 상당수 존재함을 확인하고, 「북인권 자료찾기 보고서 1 - 유엔기구와 북인권 자료」를 수정 보완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제기함
- 이어 문재승 씨가 국경없는 인권회, 미 난민이민위원회 및 미 북인권위원회의 북인권 자료 현황을 보고함. 휴먼라이츠인터넷, 캐나다 인권센터, 미 국립 민주주의기금 등에는 북인권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고 함. 이에 따라 다음번 모임 때까지 각 단체별로 보고서를 작성해 올리기로 함. 이어 북의 경제개혁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하고 자료수집의 어려움을 토로함. 이와 관련 경제개혁조치, 경제제재, 남북경협 등의 범주로 관련 자료를 찾아 목록화하기로 함. 특히 국회도서관 소장 자료를 검색하기로 함
- 이날부터 새로 참여한 정민수 씨는 북 관련 국내 단체 및 싸이트 현황을 조사하기로 함. 아울러 북 체제와 관련된 자료들도 장기적으로 찾아보기로 함.
- 모임이 끝나고 송년을 기념하며 1시간 30분 정도 뒷풀이를 진행함. 이날 뒷풀이는 북인권자료모임을 시작한 후 처음 있는 것이었음
3. 알림
- 12월 26일(월) 저녁7시 인권운동사랑방 근처 호프집에서 인권운동사랑방 송년회
- 1월 12(목)~14(토) 충주에서 전국인권활동가대회, 참가비 3만5천원(개인부담 2만원)
- 1월 21일(토) 상임활동가 및 자원활동가와 함께 하는 정책워크샵